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 상담자 인식조사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 상담자 인식조사](/content/images/size/w1200/2024/10/-------------.png)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 2024년 하반기부터 시행되었어요. 이 사업은 국민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심리상담 및 정신 건강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핵심으로 꼽히고 있어요. 사업 운영자나 제공인력에 해당하는 상담자들은 발 빠르게 이 사업에 대해 조사하고 도입을 준비하며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요.
이에 따라 마음주의에서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에 대한 상담자들의 인식과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상담자 인식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상담자들이 사업 참여의사, 형태 그리고 검사 활용에 대해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어요.
응답자는 누구였나요?🧐
본 조사는 한국상담심리학회 및 한국상담학회 게시판을 통해 진행되었어요. 최종 분석에 활용된 응답자는 118명으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에서 제시한 급수별 인원은 1급 32명(27%), 2급 86명(73%)으로 나타났어요.
![](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0/image--27-.png)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참여 의향 🧐
응답자의 사업 참여 의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응답자 가운데 85.6%가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주셨어요. 본 사업에 상담자 분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에요.
![image.png](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0/image--28-.png)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참여 희망 형태 🧐
사업 참여에 긍정적 표현을 해주신 응답자 가운데 78%는 제공인력(상담사)으로, 12%는 제공 기관 장으로 참여하고 싶다고 알려주셨어요. 상담만 신경쓰고 싶은 마음이 결과에 담긴 건 아닌지 생각하게 되네요.
![image.png](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0/image--29-.png)
지필 검사 운영 실태(PHQ-9)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에서는 상담 진행에 따른 내담자 상태 추적을 위해 PHQ-9과 같은 간단한 지필 검사를 반복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요(사업 전문, 90p).
- 지필 검사의 실시 및 채점 방식과 보관 방식에 대해 응답 받은 결과는 다음과 같아요.
- 먼저 지필 검사의 실시 및 채점은 오프라인으로 실시하고 수기로 채점하는 경우가 절반 정도의 비율을 차지했어요. 간편한 지필 검사라 직접 실시하고 채점하는 것이 관리하게 편하다고 느끼실 수 있어요.
- 지필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고 온라인 채점을 진행하는 경우는 응답자의 ¼ 수준으로 뒤를 이었어요. 직접 실시하는 것도 선호하지만 온라인으로 실시와 채점을 동시에 하는 검사들이 많아지는 만큼 상담자들도 이런 체계에 익숙해지고 있어 보이네요.
- 지필 검사의 보관 방식을 살펴보았어요.
- 상담자 분들은 주로 검사 결과를 오프라인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 아울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간에 동시에 검사 결과를 저장하시는 분들도 응답자의 ⅓ 정도로 나타났어요. 검사 결과는 중요 정보이니만큼 복합적인 방식으로 관리하려는 상담사분들의 의지가 돋보이는 결과로 볼 수 있어요.
![image.png](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0/image--30-.png)
글을 마치며
마음주의 인사이트 레터에서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에 대한 상담자분들의 관심을 살펴보았어요. 이번 인식조사를 통해
- 상담자분들이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에 높은 참여의사를 보여주고 계세요.
- 기관장보다 제공인력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요.
- 지필 검사 운용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두루 활용하고 계신 점을 파악할 수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