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 시리즈 | 사회불안장애_사회 공포증
![이상심리 시리즈 | 사회불안장애_사회 공포증](/content/images/size/w1200/2024/12/SAD_title.png)
갑작스럽게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소개하는 자리가 생겼다고 상상해봅시다. 누군가는 아무렇지 않거나 약간의 긴장만을 느끼며 담담히 자신을 소개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는 손과 발이 떨리고 식은 땀이 나면서, 심장소리가 들릴만큼 두근거릴 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장면에서 경험하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사회 불안이라 합니다. 이번 이상심리 시리즈에서는 사회 불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회불안의 개요
- 정의
- 사회불안(social anxiety, SA)은 불안장애의 한 가지 형태이다. 용어에서 알 수 있듯,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함을 과도하게 느낄 경우 사회불안을 의심해 할 수 있다.
- 사회적 상황은 일반적으로 타인이 존재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 ‘사회성’이라는 단어를 떠 올렸을 때 생각나는 장면에서 경험하는 불안이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수월할 수 있다.
- 과거 DSM 체계에서는 사회불안장애는 사회 공포증(social phobia)이라 불렸다. 따라서 연구나 진단에서는 시기에 따라 사회불안 혹은 사회공포라는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두 용어가 질적으로 다른것은 아님을 기억해 두자.
- 사회불안을 경험할 수 있는 세 가지 상황
- DSM 진단 체계에서 개인이 불안을 느끼는 사회적 상황은 '상호작용 상황',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 그리고 ‘수행하는 상황’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일부 중복된 영역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의 사례를 듣고 사회적 상황의 형태를 크게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참고자료가 된다. 각 상황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상호작용 상황 - 낯선 사람 혹은 정서적으로 약간 혹은 많이 친밀한 사람과 상호작용 하는 것, 이성과 상호작용하는 상황
-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 - 누군가 앞에서 무언가를 먹거나 마시는 것, 사람들로 가득찬 강의실에서 맨 앞자리에 앉는 것, 사람들이 많은 공간에서 일어서 화장실에 가는 것과 같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쳐다보게 되는 상황
- 수행 상황(performing) - 누군가 앞에서 특정 수행을 하는 상황(자기소개, 노래하기 등), 면접에 참가한 상황, 수업시간에 발표하는 상황
- DSM 진단 체계에서 개인이 불안을 느끼는 사회적 상황은 '상호작용 상황',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상황' 그리고 ‘수행하는 상황’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일부 중복된 영역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의 사례를 듣고 사회적 상황의 형태를 크게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참고자료가 된다. 각 상황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유병률
- 사회적 상황에서는 누구나 약간의 사회불안을 경험한다. 대중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긴장되거나 불안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일 것이다! 하지만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이나 두려움이 일상을 방해할 정도로 심각하다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사회불안은 상당히 높은 유병률을 지니고 있다. 사회불안장애의 평생유병률은 12~16% 수준으로 알려져 높은 수준에 속한다. 주요우울장애와 아울러 국내 유병률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차지 하고 있다.
- 국내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의 1/3 정도가 중간 수준 이상의 사회불안을 경험하고 있음이 밝혀지기도 했으며, 서양권 연구의 경우 사회적 불안이나 수줍음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이 40% 정도에 이른다고 알려지기도 할만큼 흔하다.
- 동아시아 권에서는 일본과 한국이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는 문화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회불안장애의 진단 및 특징
- 사회불안장애의 진단 기준(DSM-5-TR 기준)
- 사회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증상)은 다음과 같다.
![](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2/SAD_diag-1.png)
- 사회불안장애의 주요 특징
-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 대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사람이 주로 염려하는 하는 부정적 평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다른 사람은 내가 이상하다고 생각할거야.
- 다른 사람은 내가 지루하다고 생각할거야.
- 다른 사람은 내가 별로라고 생각할거야.
- 다른 사람은 내가 불안해한다고 생각할거야.
- 사회불안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공포 반응을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가끔 사회불안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받을 수 없다.
- 증상의 심각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불안하다’는 호소에 그치지 않고, 증상으로 인한 현실적 피해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회불안 증상으로 인해 원하는 직업을 얻지 못하거나, 극히 제한적인 대인관계 양상을 나타낸다면 이는 현실적 피해로 간주할 수 있다.
- 사회불안장애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현실적 피해의 예시
- 자퇴(학생) 및 무직 혹은 취업의 어려움(취업준비자), 직무생산성 및 삶의 질 저하이다. 둘째, 관계에서 가까움을 덜 느끼고, 지지적인 수준이 떨어지는 대인관계를 지닌다.
- 사회불안장애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현실적 피해의 예시
- 다른 불안장애를 함께 경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즉, 공병률이 높은 편이다(예: 범불안장애).
- 심각한 수준의 사회불안을 경험하더라도 전문적 도움을 구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며, 구하더라도 증상을 겪은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인 경우가 많다. 사회불안장애는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드물다).
-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 대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사람이 주로 염려하는 하는 부정적 평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아동의 사회불안
1. 상호작용 불안은 성인 뿐만 아니라 또래 관계에서 발생해야 한다.
2. 불안 혹은 공포 반응이 성인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울기, 생떼 부리기, 경직, 매달리기, 움츠러들기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말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1. 상호작용 불안은 성인 뿐만 아니라 또래 관계에서 발생해야 한다.
2. 불안 혹은 공포 반응이 성인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울기, 생떼 부리기, 경직, 매달리기, 움츠러들기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말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이론
- Clark과 Wells(1995)의 인지모델
-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델로 꼽히는 해당 이론은 사회적 상황에 관한 개인의 신념이 인지, 신체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쳐 사회불안을 유지 및 악화 시킨다고 본다.
![](https://blog.mindism.care/content/images/2024/12/SAD_model-7.png)
- Hofmann(2007)의 통합모델
-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인지요인을 통합한 이론이다. 부정적 자기인식,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낮은 지각, 사회적 기술 부족, 사후 반추 등이 포함된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사회불안 다루기
- 심리교육
- 많은 사람들 앞에서 부끄러움을 느낀적은 누구나 다 가지고 있을 것이다.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다수의 이론에서는 이러한 과거 경험이 씨앗이 되어 사회불안이 생길 수 있다고 본다. 즉, 이전에 사회적 상황에서 수치심을 느낀 경험이 있다면, 이후 맞게되는 사회적 상황에서 상당히 많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적극적으로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려 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 극심한 스트레스 및 회피행동은 사회불안을 강화시키고, 다음 사회적 상황에서 더 큰 스트레스와 불안함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내담자에게 충분히 교육시켜, 자신이 겪고 있는 사회불안에 대해 이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사회불안 제대로 알기
사회적 상황에서 느껴지는 어느 정도의 불안은 당연한 것임에도 내담자들은 불안감을 불편해 한다. 사회적 상황을 앞두고 적당한 수준의 불안을 느끼는 것은 오히려 해당 사회적 상황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불안은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적절히 활용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는 정서라는 것을 알려주자.
[사회불안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예]
발표가 걱정되는데 어쩌지?(불안을 느낌) → 그래. 발표 연습을 몇 번 해보는게 좋겠다!(리허설은 더 나은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
사회적 상황에서 느껴지는 어느 정도의 불안은 당연한 것임에도 내담자들은 불안감을 불편해 한다. 사회적 상황을 앞두고 적당한 수준의 불안을 느끼는 것은 오히려 해당 사회적 상황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불안은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적절히 활용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는 정서라는 것을 알려주자.
[사회불안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예]
발표가 걱정되는데 어쩌지?(불안을 느낌) → 그래. 발표 연습을 몇 번 해보는게 좋겠다!(리허설은 더 나은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
- 인지행동치료
사회불안을 다루는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바에 따르면 인지행동 집단치료(Cognitive behavioural group therapy)가 비교적 일관되게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 단순 인지행동치료(CBT)가 아닌 집단의 형태로 진행하는 것은 집단치료의 치료적 이점이 사회불안장애를 다룰 때 극대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사회불안장애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은 상호작용 및 발표 활동에 참여하게 되고, 이는 자연스레 사회적 상황에 대한 노출(exposure)이 된다. 노출은 사회불안을 비롯해 특정공포, 강박 등을 다룰 때 효과가 높은 개입방식이다. 추가적으로 참가자들은 비디오 피드백 및 실제 시연을 통해 사회적 상황에 노출하게 되어 상황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 참가자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본인을 노출하며 인지적 재구조화를 경험 할 수 있다. 집단원들은 자신의 발표나 타인의 사회적 모습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주관적 인식이 타인의 객관적인 인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받는다.
- [인지적 재구조화의 예]
내가 이렇게 발표하면서 덜덜 떠는게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겠지?(주관적 인식) → 녹화된 장면을 직접 시청하거나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듣는다. 예를 들어 "저는 OO씨가 떠는걸 전혀 느끼지 못했는걸요?’"라는 말을 듣게 된다 → 내가 발표를 하면 많이 어리숙해 보인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걸?(사회적 상황에 관한 인지 수정)
- [인지적 재구조화의 예]
- 인지행동치료의 맥락에서 최근 마음챙김(mindfulness)이나 자비(lovingkindness-compassion) 또한 사회불안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CBT에 반응하지 않거나, CBT 중도 포기자를 위해 제안되고 있다.
글을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불안장애 가운데 사회적 상황에서 과도하게 불안함을 느끼는 사회불안장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끝없는 평가 속에 불안해하거나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내담자를 만날 때 본 글이 도움 되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권석만. (2022). 이상심리학의 기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서울: 학지사.
권준수 외. (2023). DSM-5-TR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서울:학지사.
류석진. (2019).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마음챙김-자비 프로그램(MLCP)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Jin,B., Chung,U.S. (2023). Charicterist Clinical Features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lex Post-Traumatic Disorder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ased On Prevalence, Comorbidity and Symptoms. Psychoanalysis, 34(2), 17-24.
Fogarty C, Hevey D, McCarthy O.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ural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long-term benefits and aftercare. Behav Cogn Psychother. 2019 Sep;47(5):501-513.